목록전체 글 (78)
Steady Blog
*클래스의 개념 // 전역변수와 지역변수가 겹치게 될 경우 지역변수가 우선시 하게 된다. ex) public class MethodEx{ int var; public class setVar(int var){ var = var; 생략가능 3. 생성자 - 객체의 생성을 컴퓨터에게 알리는 역활과 초기화 역할을 한다. 객체에 (hashcode)를 붙임 - 접근자 -> public, package - 지정어, 결과형 return값은 사용안한다. 2. 메서드 3. static 예약어 - static은 메모리를 공유하는 기능이다. - 메모리에 제일 처음으로 잡힌다. -> 클래스 명으로 직접 접근이 가능하다. - 메모리는 한번만 초기화 된다. - static은 static 메소드만 가능하며 static메소드 안에서는 ..
* 배열 1. 배열의 개념 - 배열은 같은 자료 형들끼리 모아두는 하나의 묶음이다. - 자바에서 하나의 배열은 하나의 객체로 인신된다. - 동일 자료형이 여러 개 반복될 때 이를 하나의 변수명으로 관리하며, 각각의 구분은 순차적인 첨자를 사용한다. - reference 자료형 4byte 2. 1차원 배열 - 선언 : int[] 배열명; 또는 int 배열명[]; - 초기화 : 배열명 = new 자료형[개수] 배열명 = {값1, 값2 , 값3}; - new 에 의해서 할당되면 자동초기화 된다. ex) int a[] = new int[3] // c++에서 동적할당 되는 것과 같은 개념 예제 코딩 있음 정리하시오^^ 3. 다차원 배열 - 선언 : 자료형[][] 배열명; 또는 자료형 배열명[][] ; 또는 자료형..
4강 제어문 1. 제어문의 종류 1) 분기문(비교문) - if / swich 2) 반복문 - for / while / do~while 3) break문 - 4) continue문 2. if문 - 단순if문 - 단일 if~else문 - 다중 if문 3. Swich~case문 switch(인자값) - 인자값에는 변수, 메서드, 연산식 어떤것이든지 들어가도 상관 없음. ////if문과 switch 문의 차이 if - 범위 처리 - 순차 처리 switch - 값의 처리. 4. for문 //향상된 for문 - 배열에서 사용됨. # 향상된 for문과 일반 for문의 차이점 -> 처음부터 끝까지 하면 향상된 for문이 유리 -> 위치가 필요하다면 일반 for문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 5. while문 6. do wh..
* 연산자와 표준 입출력 1. 연산자 : 연산자란 자료의 가공을 위해 정해진 방식에 따라 계산하고 결과를 얻기 위한 행위를 의미하는 기호들의 총칭이다. 그리고 각 연산자들은 연산을 하기 위해 인식하는 자료형들이 정해져 있다. 2. 연산자의 종류와 우선순위 3. 최우선 연산자 1) .(prtiod) 연산자 - 접근 연산자 : 특정 범위 내에 속해 있는 멤버를 지칭할 때 사용함 ex) System.out.println("test"); 2) [] (대괄호) 연산자 - 배열 참조 연산자 - 자료형이나 클래스와 함께 사용되어 해당 변수나 객체가 배열로 선언됨을 알리는 역할 ex) String[] arr = {"AA","BB","CC"}; 3) () (괄호) 연산자 - 특정 연산자들을 묶어서 먼저 처리할 수 있도록..
*자바의 자료형 기업에서 바라는 인재는 팀과의 융합이 잘 되는 사람이다. ASKII CODE 생성 배경 1. 알파벳 및 특수문자를 합한 숫자가 127개 2의 7승 000 0000 만으로 생성됨 - ANSI 2. 유럽으로 전파 - 표준화 3. 아시아권으로 전파 -> 2Byte로 변홤 = 2의 16승 0000 0000 / 0000 0000 고로 UniCode 완성 -- 배경지식이 너무 부족한거 같다. 공부좀 하자. 영어도 중요하지만, 주말엔 배경지식을 쌓아야 할듯... -- 자료형을 왜 배우는지에 대해서 공부해야함. 자료형의 생성 배경을 공부해보자. 1. 식별자 - 1) 식별자 - 사물을 구분하는 것이다. 2) class : 첫글자는 대문자로 시작 3) 변수/ 메서드(함수) 소문자로 시작 변수 () 없음/ ..
# 2진수 공부를 해야함. 계산하는 것. # 공용체와 구조체를 공부해보자 # Object 와 class Instant 를 구별 하자. *정보화 1. 자료 (Data) :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 2. 처리 (Process) : 연산 및 처리를 하는것 -> 처리를 좀더 빠르게 하기 위해 전산화가 생김. # 전산화 -> 컴퓨터와 인간의 의사소틍을 위해 언어를 만들어서 해결. 3. 정보(Infomation) : 의사 결정 4. 피드백(Feed Back) : 환원 정보화는 위와 같은 식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자료, 즉 Data를 정보화 할때 세상 모든것을 컴퓨터에게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생긴다. 이때 인간은 컴퓨터와 약속을 함으로서 해결했다. 기본 자료형 배열 논리 연산자 수 - 정수/실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