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78)
Steady Blog
*함수 호출* # C언어 => 함수명 # C++ => 함수명 +매개변수(자료형/갯수) #문자열 "ABCDE"를 호출 할려면 char *A 같은 형식으로 포인터를 이용해 배열을 호출 받는다. ex) void print(char *s) { cout
*함수* - 정의 1.반환값(return value)는 1개 뿐이다. 2. 반환값이 없으면 결과형은 void이다. - 함수의 형식 선언부 결과 자료형 함수명 (자료형); int plus (int a, int b); 결과 자료형 함수명 (매개변수) int plus (int a, int b) { { 정의 명령문; return a+b; return 반환값; } } 호출 방법 : 함수명(인수1,인수2...) plus(1,2); # 임시 변수 : c++에서는 리턴값이 있을때 리턴값을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 상에 임시 변수가 생성된다. 단! 리턴값이 없다면 임시변수는 생성되지 않는다. 또한! 함수 선언이 끝나게 된다면 임시변수 역시 메모리 상에서 사라진다. #return 의 기능 : 1. 함수의 결과값을 호출 함수로..
*함수 정리* fflush(stdin) : 키보드 버퍼를 없애는 명령어 cin.get( 변수명, 배열갯수(ex:5) ) : 문자열을 입력받는 함수로서 공백문자도 받을 수 있음. cin.ignore() : 키보드 버퍼로 부터 문자 1개를 지우는 함수 cin.getline( 변수명, 배열갯수(ex:5) ) : cin.get()+cin.ignore() strlwr( 배열명 ) : 문자열을 모수 소문자로 만드는 함수 getch() : 문자 1개 입력받는 함수 ,단! 문자는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기능적으로 일시 멈춤으로 사용 한다. system("cls"); // 화면을 깨끗하게 지우는 함수. system("pause");// 임시 멈춤 setw() : 왼쪽으로 출력하라. setiosflags(ios::left..
* 헤더파일 정리 * # include : 입출력 해더파일 # include : getch()를 사용하기 위한 해더파일 # include : printf를 쓰기 위한 해더 파일 # include : system() 쓰기 위한 해더 파일 // C언어에서는 melloc() free() 같은 동적 할당시 필요함
* 함수 : 유지 보수 , 함수 => 모듈화 , 재사용 ※ 참고 Class => 부품화 1. 함수의 기본 1. 사용자가 정의하는 것이다. 2. 반복되는 내용을 따로 묶어서 처리하는 단위이다. 3. 독립된 모듈이다. 4. 호출된 함수는 반드시 호출한 곳으로 되돌아 온다. 5. 전달받은 인수(매개변수)는 개수에 상관없다. 6. 반환값(return value) 7. 반환값이 없으면 결과형은 void이다. 8. 함수를 사용하면 코드의 길이가 짧아지고, 이해가 쉽다. 9. 프로그램의 유지와 보수가 용이해 진다. 1-1 사용자 정의 함수 1) 함수의 형식 선언 결과자료형 함수명(자료형, 자료형) int plus (int a, int b) 결과자료형 함수명(매개변수) int plus (int a, int b) 정의 ..
* 반복문 - 정해진 문장을 반복해서 실행하기 위해 사용하며 많은 양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 할 수 있도록 한 순환 구조이다. - 반복문을 사용하지 않고 프로그램을 작성하게 되면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복잡해지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2-1 for문 - 범위를 지정해서 명령문을 반복 동작시킬 경우 많이 사용함. 1. 조건 반복문을 말하며, 초기 값부터 시작하여 조건식이 거짓 상태가 될 때까지 loop내의 명령들을 반복 수행한다. 단, 조건식이 처음부터 거짓인 경우 loop내의 명령은 수행되지 않는다. 2. 초기식, 조건식, 증감식 부분은 모두 생량할 수 있다. 3. 초기식 부분과 증감식 부분에는 콤마(.)연산자를 이용하여 2개 이상의 명령을 기재 할 수있다. 4. loop내의 명령문이 2개 이상인 ..
*제어문 * 문의 종류 - 공문 : 세미클론( ; )만 있는 것으로 아무 실행도 하지 않는다. - 단문 : 한 개의 명령만으로 구성된 문장으로 {} 없이 사용한다. - 복문 : {}로 둘러싸인 문장. 1. 조건문 1. 조건에 따라 실행할 명령이 결정되는 선택적 제어구조이다. 2. 조건식이 참(0이외의 값)인 상태이면 조건식 뒤에 기재된 명령을 수행한 수 다음 문장을 수행하고, 조건식이 거짓(0값)인 상태이면 조건식 뒤에 쓰인 명령은 수행하지 않고 바로 다음 문장을 수행 3. 조건식은 관계식, 논리식, 상수, 변수, 수식, 함수 등을 기재해도 됨. 1. If문. 1-1 단일 if문 - if문은 특정 조건의 만족여부에 따라 실행해야 할 다음 명령문을 결정할 때 사용. - if문()안에 조건식이 참(1)이면 ..
*연산자 정의 : 계산하거나 무엇인가를 표현할 때 사용되어지는 문자를 말한다. 1. 연산자 우선 순위 //사진자료 필요 2. 산술 연산자 ㄱ. 곱셈(*)과 나눗셈(/)과 나머지(%) 연산자는 덧셈(+),뺄셈(-) 연산보다 우선 순위이다. ㄴ. 나누기(/)연산자 일 경우 연산을 실시하는 양족 항에서 한쪽이라도 실수가 나오면 실수로 처리한다. ㄷ. 나머지(%)연산자에서는 양쪽 항이 반드시 정수 데이터야 한다. 3. 증감 연산자 정의 : 어떤 항 값을 1증가 또는 감소시켜 주는 연산자. 모양 : ++a,--a, a++,a-- ex) void ch4_test() { int a = 5, b; b = a++; printf("a = %d, b = %d\n", a,b); } 결과 값 -----> a = 6, b =5 ..